
수 체계
복소수부터 표현한 수 체계입니다.
- Math
- · 2021. 10. 20.

정삼각형 높이 & 넓이 공식
정삼각형 높이 공식 한 변의 길이를 a로 두었을 때, h=√32a 정삼각형 넓이 공식 S=√34a2
- Math
- · 2021. 9. 12.
아래 글을 먼저 보시고 오시기를 추천드립니다.https://scian.tistory.com/174 [그래프 이론] 용어 및 기본 개념 정리기본 용어그래프 점과 선으로 이루어진 도형 (G(V,E)) 꼭짓점 그래프에서의 점 (그래프에서 꼭짓점 집합: V) 변 꼭짓점을 연결한 선 (그래프에서 변 집합: E) 같은 그래프이다. 꼭짓점의 위치를 바scian.xyz인접행렬어떤 그래프의 두 꼭짓점이 한 변으로 연결되어 있으면 1, 변으로 연결되어 있지 않으면 0으로 하여 그래프의 두 꼭짓점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 행렬v1,…,vn을 꼭짓점으로 갖는 그래프 G의 인접행렬을 A라 할 때,G의 각 꼭짓점의 차수A2의 대각성분 (vi의 차수: A2의 i,i 성분)G의 변..
기본 용어그래프 점과 선으로 이루어진 도형 (G(V,E)) 꼭짓점 그래프에서의 점 (그래프에서 꼭짓점 집합: V) 변 꼭짓점을 연결한 선 (그래프에서 변 집합: E) 같은 그래프이다. 꼭짓점의 위치를 바꾸거나 변을 구부리거나 늘이거나 줄여도 두 그래프를 같은 그림으로 그릴 수 있다. 꼭짓점의 차수 그래프에서 한 꼭짓점에 연결된 변의 개수 그래프에서 모든 꼭짓점의 차수의 합 = 2*변의 개수 완전그래프 서로 다른 두 꼭짓점 사이에 항상 변이 오직 한 개 있는 그래프 (Kn) 연결그래프 임의의 서로 다른 두 꼭짓점이 연결된 그래프 경로 그래프의 한 꼭짓점에서 다른 꼭짓점으로 이동할 때, 한 번 지난 변을 반복하지 않으면서 연결된 변을 따라 순서대로 꼭짓점을 나열한 것 경로의 길이 한 꼭짓점에서 ..
Intro 우리는 일반화학에서 다루는 양자역학 중에서 암기해야 할, Point 부분만을 골라 학습할 것이다. 양자역학 자체가 접하기도 어렵고, 이해하기는 더더욱 어렵기 때문에, 특히 시험을 앞둔 과학고/영재학교생이나 대학생은 암기하는 데 중점을 둘 것을 권장한다. 다만, 본 글에서는 수식적 증명의 과정을 비교적 상세히 작성하여 풀이에도 집중할 수 있도록 하였다. 필자 또한 암기에 도움을 받고자 본 글을 작성한다. 본문은 노트 필기와 비슷한 방식으로 작성될 것이며, 문장보다는 수식 또는 이미지 혹은 개요식의 텍스트가 중점적으로 배치될 것이다. 다만, 필요한 경우 문장으로 풀어서 설명할 수 있다. 앞으로 약 3~4개의 포스팅을 통해 양자역학에 대해 배우게 (암기하게) 될 것이다. 준비가 되었다면, 아래로 스..
복소수부터 표현한 수 체계입니다.
정삼각형 높이 공식 한 변의 길이를 a로 두었을 때, h=√32a 정삼각형 넓이 공식 S=√34a2
내 블로그 - 관리자 홈 전환 |
Q
Q
|
---|---|
새 글 쓰기 |
W
W
|
글 수정 (권한 있는 경우) |
E
E
|
---|---|
댓글 영역으로 이동 |
C
C
|
이 페이지의 URL 복사 |
S
S
|
---|---|
맨 위로 이동 |
T
T
|
티스토리 홈 이동 |
H
H
|
단축키 안내 |
Shift + /
⇧ + /
|
* 단축키는 한글/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,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.